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바이낸스 마켓용어 전격 설명

여러분 안녕하세요~!!

 

이전 글에서 바이낸스(Binance)윈썸엑스(WinsomeX)

거래소 가입방법과 설명을 드렸었는데

많은 분들이 영어로 되어있거나,

용어를 모르셔서 진행에 어려움을 느끼실 거라고

문득 생각이 들어서 이번 글 작성 하려고 합니다!

 

지금부터 본격적으로 선물거래 화면 하나하나 해부 시작하겠습니다^^

 

 

첫 번째, 차트

 

 

계약 종류 및 실시간 가격정보

(차트 화면 상단 왼쪽에 표시된 구성 요소를 순서대로 설명합니다.)

 

 

Symbol + Pair + Contract

  • Symbol(심볼) : 종목명, 예) BTC.
  • Pair(페어) : 증거금(담보금) 또는 결제 통화, 예) USDT.
  • Contract(계약) : 계약 종류, 예) Perpetual(무기한 계약)

실시간 체결 가격

  • 호가창에서 확인 가능한 단순 체결 가격, 예) 22,896.9

Mark Price(시장평균가)

  • 현재 시장 가격을 나타내며, 외부 거래소들의 평균 가격(Index Price)과 거래소 내 Funding Basis를 반영하여 계산됩니다.
  • 강제 청산 가격(Liq. Price)의 기준이 됩니다.

Index Price(지수 가격):

  • 바이낸스에서 기준으로 삼는 주요 외부 거래소들의 해당 코인 평균 가격입니다.
  • 예) 코인베이스, 비트파이넥스, 크립토닷컴의 BTCUSD 가격 평균값

Funding(펀딩비)

  • 시장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포지션 쏠림을 방지하는 수수료 시스템입니다.
  • 양수(+) : 숏 포지션이 수수료를 받고 롱 포지션이 지급.
  • 음수(-)  : 롱 포지션이 수수료를 받고 숏 포지션이 지급.

Countdown

  • 펀딩비 정산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합니다.
  • 일반적으로 하루 3번, 8시간마다 정산됩니다.

차트 설정 섹션

차트는 현물 차트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며, 다양한 유형으로 설정 가능합니다(Original, Trading View, Depth 등)

설정은 저장 및 초기화할 수 있으며, 컴퓨터 사양이 낮을 경우 Trading View 설정에서 무한 로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두 번째, 오더북(호가창)

 

 

Order Book(오더북)

오더북은 호가창을 의미하며, 표시된 가격을 클릭해 해당 가격으로 주문을 넣을 수 있습니다.

매수(롱(Long)) : 초록색 바로 표시(하단)

매도(숏(Short)) : 빨간색 바로 표시(상단)

오더북 설정

글자 아래 3개의 도형 아이콘으로 호가창 형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매수(롱) + 매도(숏) 호가창

매수(롱) 호가창만 표시

매도(숏) 호가창만 표시

해석 방법

빨간색 바가 많으면 매도세 우위(가격 하락 기대감)

초록색 바가 많으면 매수세 우위(가격 상승 기대감)

이를 보조지표로 활용하는 투자자도 있습니다.

Trades는 실시간 체결 현황을 보여줍니다.

Price : 체결된 가격

Amount : 체결 수량

Time : 체결 시간

 

세 번째, 주문창

 

 

주문창에서는 거래방식 선택, 롱(Buy/Long) 또는 숏(Sell/Short) 포지션 선택, 진입 가격 및 수량 결정, 수수료 확인 등 매매와 포지션 진입에 필요한 모든 요소를 결정합니다.

Cross/Isolated

Cross(교차 마진)

- 사용 가능한 자산 전체를 증거금으로 사용하여 강제 청산 가격이 낮아집니다.

Isolated(격리 마진)

- 포지션에 투입한 증거금만을 사용하여, 다른 자산은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Leverage

Leverage(레버리지)는 투입한 증거금을 담보로 하여 초기 자본보다 큰 금액으로 매매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바이낸스에서는 1배부터 125배까지 선택 가능하며, 레버리지를 높일수록 더 큰 포지션을 개설할 수 있습니다.

Limit/Market

Limit(지정가) : 원하는 가격으로 주문을 넣는 방식입니다.

Market(시장가) : 시장 가격으로 즉시 매매가 체결되는 방식입니다.

Stop Limit/Stop Market/Trailing Stop

Stop Limit(스탑 리밋) : 지정한 가격에 도달하면 미리 설정한 지정가 주문이 오더북에 제출됩니다.

Stop Market(스탑 마켓) : 지정한 가격에 도달하면 미리 설정한 시장가 주문이 오더북에 제출됩니다.

Trailing Stop(트레일링 스탑) : 시장의 변동성을 반영하여 특정 비율 범위 내에서 주문을 설정해 손실을 줄이고 이익을 보호하는 방식입니다.

Post Only

Post Only(포스트 온리)는 지정가 주문만 가능하게 하여, 본인이 직접 오더북에 물량을 제출하는 방식입니다.

TWAP

TWAP(Time Weighted Average Price)는 "시간분할 주문"으로, 설정된 기간 동안 설정된 총수량을 분할하여 자동으로 매매하는 전략입니다. 목표는 시장 평균 가격에 가까운 체결 가격을 달성하는 것입니다.

Avbl

Avbl(Available)는 포지션을 오픈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현재 내 선물 지갑 계좌의 사용가능 자산 액수를 의미합니다.

Size

Size(포지션 사이즈)는 롱 또는 숏 포지션에 진입할 증거금(담보금) 수량을 의미하며, 주문 시 포지션 사이즈 단위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TP/SL

TP(Target Profit) : 목표 수익 가격을 설정하여, 해당 가격에 도달하면 수익을 확정하는 기능입니다.

SL(Stop Loss) : 손절매 가격을 설정하여, 해당 가격에 도달하면 손실을 제한하는 기능입니다.

Mark/Last : TP/SL의 기준 가격을 선택할 때, 'Mark Price' 또는 'Last Price'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Reduce-Only

Reduce-Only(리듀스 온리)는 기존 포지션을 줄이는 데만 사용할 수 있으며, 포지션을 늘리는 주문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Buy(Long) / Sell(Short)

Buy(Long) : 롱 포지션, 매수에 배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Sell(Short) : 숏 포지션, 매도에 배팅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Cost

Cost(비용)는 포지션을 개설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의미하며, 개시 증거금과 미결 손실이 포함됩니다.

Fee Level

Fee Level에서는 메이커와 테이커에 대해 부과되는 수수료 비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테이커가 더 높은 수수료를 부과받습니다.

Maker : 오더북에 물량을 제출하는 사람

Taker : 오더북에 제출된 물량을 매수하거나 매도하는 사람

 

 

네 번째, 포지션 창

 

 

포지션 창에서는 진입한 포지션의 수량, 종류, 진입 가격, 강제 청산 가격, PNL(ROE %), 등 현재 유지 중인 포지션에 대한 모든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ymbol (종목명)

Symbol(심벌)은 거래하는 종목명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USDT를 증거금으로 사용하고 레버리지 비율을 10배로 설정하여 비트코인을 거래할 경우 "BTCUSDT Perpetual 10x"와 같이 표시됩니다.

Size

Size(포지션 사이즈)는 개설된 포지션의 수량을 의미하며, 이는 실제 체결된 수량을 보여줍니다. 양수(+)는 롱(Long), 음수(-)는 숏(Short) 포지션을 나타냅니다.

Entry Price

Entry Price(진입 가격)는 사용자가 현재 롱/숏 포지션에서 체결된 평균 가격, 즉 해당 포지션의 평단가를 의미합니다.

Mark Price

Mark Price(시장평균가)는 외부 거래소들의 평균 가격과 거래소 내의 "Funding Basis" 값을 반영하여 계산됩니다. 이 가격이 강제 청산 가격에 도달하면 해당 포지션은 청산됩니다.

Liq.Price (청산 가격)

Liq.Price(청산 가격)는 Mark Price가 해당 가격에 도달하면 포지션이 강제로 청산되는 가격을 의미합니다.

Margin Ratio

Margin Ratio(마진 비율)는 '유지 증거금 / 증거금 잔액'으로 계산되며, 100%에 도달하면 포지션이 강제로 청산됩니다.

Margin

Margin(마진)은 해당 포지션에 할당된 실제 투자금(증거금)을 의미합니다.

PNL(ROE)

PNL(Profit and Loss)은 손익금을 의미하며, ROE(Return on Equity)현재 포지션의 마진 대비 수익률을 퍼센트(%)로 표시합니다.

PNL은 기본적으로 Last Price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Last Price(마지막 거래 가격)는 해당 거래소에서 가장 최근 체결된 가격을 의미합니다.

Close All Positions

Close All Positions(전체 포지션 종료)기능은 모든 미결제 주문을 취소하고 포지션을 시장가(Market) 또는 지정가(Limit)로 종료하는 기능입니다.

시장가(Market) 종료

- 시장가로 포지션을 종료하여 급격한 가격 변동으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지정가(Limit) 종료

- 오더북에 제출한 가격과 수량으로 포지션을 종료할 수 있으나, 주문이 체결되지 않으면 대기 주문으로 남을 수 있습니다.

TP/SL for Position

TP(이익 실현)/SL(손절)은 전체 포지션에 적용되며, 설정된 스탑 가격(Stop Price)에 도달하면 시장가 주문이 발동하여 포지션을 종료합니다. 포지션 크기가 시장 주문 수량 한도를 초과하면 주문이 거부됩니다.

이상 선물 마켓용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렇게 정리해 놓으니 알아야 할 게 너무나 많은데요.

내 돈 들여서 투자하는 거니 꼼꼼히 공부하고 시작하셔야겠죠?

 

마지막으로는 선물거래를 하시면서

초보자분들이 많이 물어보시는

질문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ㅎㅎ

 

 

Q-1. 교차 격리 차이 및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 교차 마진(Cross) : 포지션 진입 시, 사용한 증거금과 사용 가능한 자산 전체를 증거금으로 사용합니다. 장점: 강제 청산 가격이 낮아짐.

- 격리 마진(Isolated): 포지션 진입 시 사용한 증거금만을 해당 포지션의 증거금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자산은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장점: 포지션 진입에 사용한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자산이 보호됩니다.

Q-2. 선물 수수료 확인 및 계산 방법이 어떻게 되나요?

- 수수료 확인 방법: 선물 거래 페이지의 주문창에서 'Fee level'을 확인하고, 'Your Fee level User' 부분을 클릭하여 본인의 수수료 비율을 확인합니다.

Q-3. 레버리지 한도 조정 어떻게 하나요?

- 레버리지 한도 조정 방법: 주문창에서 ‘Cross/Isolated’ 버튼 옆에 있는 '(숫자) x'를 클릭하여 세부적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Q-4. 스탑로스 설정은 어떻게 하나요?

- 스탑로스 설정 방법: 선물 거래 페이지의 주문창에서 'TP/SL' 버튼을 체크하고 설정합니다.

Q-5. 스탑리밋 설정은 어떻게 하나요?

- 스탑리밋 설정 방법: 선물 주문창에서 ‘Stop Limit’ 버튼을 클릭하고 설정합니다.

Q-6. PNL(ROE) 뜻 그리고 보는 법 어떻게 되나요?

- PNL (Profit and Loss) : '이익과 손실'을 의미하며, USDT나 기본 암호화폐로 표시됩니다.

- ROE (Return on Equity) : '마진 대비 수익률'을 의미하며, 전체 계정 잔액 대비 수익률과는 다릅니다.

- PNL 보는 법 : 직관적으로 손익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Q-7. Mark와 Last 차이 무엇인가요?

- Mark Price : '시장평균가'로, 다른 거래소들의 가격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 Last Price : '가장 최근 체결된 가격'으로, 해당 거래소의 가격을 기준으로 합니다.

- Mark와 Last의 차이 : Mark는 외부 거래소들을 기준으로, Last는 해당 거래소의 기준으로 가격을 계산합니다. 이들은 주문창의 'TP/S' 버튼과 포지션 창의 'PNL(ROE%)'에서 사용됩니다.

Q-8. 메이커 테이커 무슨 뜻이고 수수료 차이 어떻게 되나요?

- 메이커(Maker) : 오더북(호가창)에 새로운 매수/매도 주문을 넣어 채우는 사람

- 테이커(Taker) : 오더북에 이미 존재하는 매수/매도 주문을 가져가는 사람

- 수수료 차이 : 일반적으로 메이커는 테이커보다 더 적은 수수료를 지불합니다.

생각보다 배워야 할게 많죠...

그래도 알고 진행하는 것과 모르고 진행하는 것은

천차만별이고 본인 수익에 달려있는 문제입니다!!

많은 양이라도 잘 배워서 여러분들도 항상

성투하셨으면 좋겠어요 ㅎㅎ

 

그럼 오늘은 여기까지!!